파이썬 Day 2-1 (변수, input(), 문자열)

2023. 3. 6. 12:56파이썬

1) 변수

 

> 실제 저장은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 것 

 

ex) a = b  각각의 a,b가 생성 되고 a는 b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 것 ( + 기능까지)

 

'=' 해석 우측 데이터의 주소를 왼쪽에 대입했다. (가리키는 행위)

 

 

> 합성어 사용시 주로 두번째 단어 시작은 대문자로 표기(관례적)

 

 

> 변수 삭제 

del : 객체를 삭제하는데 사용

 

파이썬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것이 객체(object)

 

2) 입력 받기 (input() 함수)

 

정의: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함수

(사용자란 주로 개발자를 뜻한다.)

 

 

>split(매개변수)

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를 기준으로 데이터로 나눠서 저장

ex) / , , \n, \t 

 

 

 

3) 문자열 다루기

 

> 따옴표, 쌍따옴표 두개 다 사용 가능한 이유 ? (같은 기능을 하는 이유)

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, 따옴표 안에 따옴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.

두 개를 사용해야 할 때, 표현할 수 있게 된다.

 

 

예시

 

> 변수에 주석도 추가가 가능하다 !

 

str5 변수에 주석을 추가했다.

띄어쓰기 형식 그대로 출력이 된다.

 

예시 2

 

4) 문자열 함수 (str 클래스 안에 메소드)

 

> count(찾을 문자 or 문자열 ) - 문자열에서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의 출현 횟수 반환

> find(찾을 문자 or 문자열 , 시작 Index, 끝 Index) -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인덱스로 반환

> rfind() - 끝에서부터 찾는다. - find와 유사하지만, 뒤에서부터 찾는다. 

> index() -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인덱스로 반환

> replace(바꿀문자, 대체할 문자) - 특정 문자열을 치환해주는 함수 

> upper() - 문자열을 모두 대문자로 변환

> lower() -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

> strip() - 문자열 양쪽 공백을 제거

   r/l strip() - 오른쪽, 왼쪽 공백 제거

 

> join() - 문자열에 특정 문자열 삽입 (순서확인 필수)

 

join() 사용법

 

 

cf) index vs find 
find에서 찾을 요소가 없는 경우 Return -1 을 하지만, index는 Error 발생 

 

 

728x90
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ay 4~5 사용자 정의 함수 및 변수의 범위  (0) 2023.03.09
Day 3-2 제어문 (조건문, 반복문)  (0) 2023.03.07
Day 3-1 튜플  (0) 2023.03.07
파이썬 Day 2-2 (List)  (0) 2023.03.06
파이썬 Day 1  (0) 2023.03.03